D형 간염 바이러스
1. 개요 및 정의
D형 간염 바이러스(HDC)는 결함 있는 RNA 바이러스노, 단독으로는 감염을 일으킬 수 없으며, 증식을 위해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HBV)\*\*와 함께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HDC 감염은 기존 B형 간염 환자에게서만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HDC는 \*\*위성 바이러스\*\*노 분류된다.
블로인 (랜덤채팅 친구만들기) - Google Play 앱
원하는 상대와 대화하고 친구 만들 수 있어요
play.google.com
2. 바이러스의 구조 및 특성
HDV는 지름 약 36nm의 작은 바이러스노, 원형 단일 가닥 음성 감각 RNA(-ssRNA) 유전체를 가지고 있다. HDC의 독특한 특징은 \*\*단일 단백질인 델타 항원(HAAG)만 암호화한다는 것이다. 이 바이러스는 자체 외피 단백질을 생성할 수 없어서 감염 및 복제에 \*\*HBV 외피 단백질(HBsAg)\*\*이 필요하다.
HDV의 RNA는 숙주의 RNA 중합효소 II를 이용하여 복제되는데, 이 효소는 바이러스 RNA를 마치 MRSA처럼 전사한다. 또한, 일반 바이러스와는 다른 복제 기전 때문에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3. 감염 경로
HDV의 전파 방식은 HBV와 유사하다. 감염은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발생한다.
* 혈액을 통한 전파: 오염된 주사기, 수혈, 문신 등
* 성적 접촉: HBV 보균자와의 무방비 성 접촉
* 모자간 수직 감염: 드물지만, 가능
* 위생용품 공유: 면도기, 칫솔 등
4. 감염 유형
HDV 감염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① 동시 감염
* HBV와 HDC의 동시 감염
* 급성 간염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 만성으로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증상이 심할 수 있다.
② 중복 감염
* 기존 HBV 보균자가 HDC에 추가로 감염된다.
* 간 기능의 급격한 저하, 만성 간염, 간 경변, 간세포암 발생 위험 증가
* 이 경우 만성화율이 매우 높습니다. 70\~90%\*\*
5. 임상 증상
HDV 감염은 일반적인 바이러스 간염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더 심각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 급성 감염: 피로, 식욕 부진, 메스꺼움, 구토, 황달, 복통
* 만성 감염: 지속적인 간 기능 장애, 간 섬유화 진행
* 심각한 합병증: 간 경변, 간부전, 간세포암
특히 HDC 감염은 HBV 단독 감염보다 훨씬 심각하고 빠른 간 손상을 유발하며, 예후 또한 좋지 않다.
6. 진단
HDC 감염은 다음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1. 혈청학적 검사:
* 항-HDC IgM: 급성 또는 최근 감염
* 항-HDC IgG: 과거 또는 만성 감염
* 검사 결과가 유의미하려면 HBsAg 양성이어야 한다.
2. 분자생물학적 검사:
* HDC RNA 정량 검사: 바이러스 복제 확인
* PCR 기반 검사로 감염 단계 확인 가능
7. 치료
현재 HDV 감염에 대한 표준 치료법은 제한적이며, HBV와 달리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심각하게 부족하다.
기존 치료법:
* Peg-FIN-α:
* 48주 동안 투여
* 일부 환자에서 HDC RNA 감소
* 치료 후 재발이 흔함
* 많은 부작용 때문에 내약성 저하
최근 치료법:
* 불레비르티드(상품명: 헵클루덱스):
* 2020년 EU 승인
* HBV 수용체인 NTC를 차단하여 HDC의 간세포 침입을 억제
* 현재 유럽 및 일부 국가에서 사용 가능
* 한국에서는 승인되지 않았거나 임상시험 중이 아닐 수 있음
8. 예방
HDC는 HBV 없이는 생존할 수 없으므로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은 B형 간염 백신 접종이다.
* HBV 예방 접종: HDC 감염 예방에 간접적 효과
* 안전한 성생활 및 위생 관리: 혈액 및 체액 노출 방지
* 금욕 및 건강한 생활 습관: 간 건강 유지
*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 HBV 보균자의 HDV 감염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
9. 역학 및 유병률
전 세계적으로 1,500만 명 이상이 HDC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며, 유병률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다.
* 고위험 지역:
* 중앙아프리카, 중동, 남미, 동유럽, 몽골 등
* 한국:
* 전체 B형 간염 보균자의 약 0.5~1%가 HDC에 동시 감염
* 주로 중복 감염 형태로 발생
최근 국외 이민, 관광, 이주 노동자 증가로 인해 비 풍토병 지역에서도 수입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10. 전망 및 과제
* 신약 개발이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 HDC 감염 환자의 조기 진단 및 장기 추적 관찰이 중요하다.
* 고위험군(B형 간염 보균자)에 대한 선별 검사 체계 구축 필요
* 백신 개발보다는 HBV 예방을 통한 간접 차단 전략이 핵심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폐쇄성 폐질환 증상 10가지 (0) | 2025.05.28 |
---|---|
E형 간염과 A형 간염의 차이점 증상 예방 치료법 총정리 (0) | 2025.05.27 |
c형간염 전염경로 예방법 알아봅니다 (0) | 2025.05.25 |
a형간염 예방접종 가격 (0) | 2025.05.23 |
헬리코박터균 예방 6가지 (0)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