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간염 예방접종 가격
1. A형 간염 백신 개요
A형 간염은 A형 간염 바이러스(HAC) 감염으로 간에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파된다. 증상으로는 피로, 식욕 부진, 구토, 복통, 황달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예방 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A형 간염 백신은 총 2회 접종이 필요하며, 장기 면역을 얻으려면 1차 접종 후 6개월에서 1년 후에 2차 접종을 해야 한다. 어린이와 성인 모두 접종이 가능하며, 생후 12개월 이상은 접종이 가능하다.
블로인 (랜덤채팅 친구만들기) - Google Play 앱
원하는 상대와 대화하고 친구 만들 수 있어요
play.google.com
2. A형 간염 예방접종 가격
▷ 성인
- 국내 백신 (예: 허바릭스, 아박심 등)
- 1회 접종 비용: 약 7만 원 ~ 10만 원
- 총 2회 접종 비용: 약 14만 원 ~ 20만 원
▷ 어린이
- 국가예방접종사업(NIP) 대상 나이 (12개월 ~ 12세 이하)
- 지정 병원과 의원에서 무료 접종 가능
- 총 2회 접종은 전액 무료 (정부 지원)
- NIP 대상 외 (13세 이상 어린이 포함, 성인)
- 병원 자비 부담 예방접종 필수
▷ 보건소 예방접종 비용
- 종합보건소는 재고가 있는 경우 예방접종을 제공할 수 있다.
- 예방접종 비용: 회당 약 40,000원 ~ 70,000원
- 민간 병원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수량이 제한적이다.
▷ 종합병원/대학병원
- 브랜드 백신, 냉장 유통 및 관리 시스템 덕분에
- 예방접종 비용: 회당 약 80,000원 ~ 120,000원
- 일부 병원에서는 별도의 진료비 또는 초기 치료비를 부과할 수 있다.
3. 백신 종류별 가격 차이
한국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A형 간염 백신은 두 가지이다.
- 하브릭스 GSK
- 아박심 사노피파스퇴르
두 제품 모두 효능과 안전성이 검증되었으며, 주사 간격과 횟수는 도일한다. 가격은 약간씩 다르며, 일부 병원에서는 두 가지 중 하나만 취급하기도 한다. 하브릴스는 성인용과 소아용으로 나뉘며, 소아용이 약간 더 저렴하다.
4. 예방접종 대상 및 권장 연령
▷ 어린이
- 생후 12개월 이상부터 예방접종 가능
- 국가예방접종(NIP) 대상자는 2회 무료 접종 가능
▷ 성인
다음과 같은 분들은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 항체가 없는 1970년대 이전 출생자
- 해외여행 계획자(특히 동남아시아, 남미 등 비위생 지역)
- 군인, 의료 종사자, 식품 취급자
- 만성 간질환자, 혈우병 환자
- 남성 동성애자(MMS), 약물 사용자 등 고위험군
홍역 예방접종 시기
5. 항체 검사 및 예방접종 결정
성인의 경우 예방접종 전 A형 간염 항체 검사(anti-HAC IgG)늘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항체 있음: 예방 접종 불필요
- 항체 없음: 2회 예방 접종 필요
항체 검사 비용은 일반적으로 약 10,000원에서 25,000원 정도이며,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본인 부담이다. 종합병원에서는 검사대상물 채취 및 검사 비용으로 약 30,000원 이상을 청구할 수 있다.
6. 예방 접종 간격 및 면역 지속 기간
- 1차 예방 접종 후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2차 예방 접종을 받으면 약 20년 이상 면역이 지속합니다.
- 일부 연구에 따르면 2차 예방 접종 후에도 면역이 평생 지속할 수 있다.
7. 주의 사항 및 기타 정보
- A형 간염 백신은 불활성화 백신이므로 면역 저하자나 임산부도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예방접종 후 흔한 이상 반응으로는 접종 부위 통증, 미열, 피로감이 있으며, 보통 1~2일 이내에 사라집니다.
- 백신은 개별 약국에서 구매할 수 없으며, 병원 및 의원에서만 접종할 수 있다.
- 여행을 계획 중이시라면, 최소 2주 전에 1차 예방접종을 완료하시는 것을 권장한다.
- 보건소에 전화하여 예약하시면 저렴하게 예방접종을 받으실 수 있다.
- 항체검사 + 백신 패키지로 건강검진 병원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도 있다.
요약하자면, 대부분 어린이는 정부 지원으로 무료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성인은 항체검사 후 2회 접종 시 약 14만~20만 원 정도이다. 보건소나 일부 공공 의료기관에서 저렴하게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여행을 계획 중이거나 간 질환이 있는 분들은 예방접종을 고려해 보시기 바란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c형간염 전염경로 예방법 알아봅니다 (0) | 2025.05.25 |
---|---|
헬리코박터균 예방 6가지 (0) | 2025.05.22 |
살모넬라 식중독 증상 (0) | 2025.05.21 |
세균성 장염 원인 (0) | 2025.05.20 |
세균성 질염 종류 자세히 알아봐요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