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1. 역류성 식도염이란?
위식도 역류 질환(GERI)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속 쓰림, 트림, 인후통, 잦은 기침이 있다. 만성화되면 식도 협착증, 바넷 식도(전암성 병변)와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블로인 (랜덤채팅 친구만들기) - Google Play 앱
원하는 상대와 대화하고 친구 만들 수 있어요
play.google.com
2. 역류성 식도염 치료의 종류
① 양성자 펌프 억제제(PIP)
PIP는 위산 분비를 강력하게 억제하여 역류성 식도염을 치료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다.
대표적인 PIP 약물
- 오메프라졸
- 에소메프라졸
- 란소프라졸
- 판토프라졸
- 라베프라졸
특징
- 최대 24시간 동안 위산 분비를 억제
- 식사 30~60분 전복용 시 효과적
- 장기 복용 시 비타민 B12 결핍, 골다공증,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주의사항
- 최소 4~8주 이상 복용이 필요하며, 증상이 심할 경우 장기 복용 가능
- 장기 복용 시 위산 분비가 과도하게 감소하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

② H2 수용체 길항제(H2 RA, Histamine -2 Receptor Antagonists)
H2 RA는 히스타민 때문인 과도한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이다.
대표적인 H2 RA 약물
- 라니티딘 - 현재 일부 판매 중단
- 파모티딘
- 니자티딘
- 시메티딘
특징
- PIP보다 위산 분비 억제 효과는 낮지만 빠르게 작용
- 단기 사용에 적합하며 주로 야간 위산 분비 억제에 도움
- PIP와 병용 시 증상 조절 가능
주의사항
- 라니티딘은 발암 기능성 물질(NDMA) 검출로 판매 중단
- 장기 사용 시 내성 생길 수 있음
③ 제산제
제산제는 위산을 중화하고 속 쓰림을 빠르게 완화하는 약물이다.
대표적인 제산제 성분
- 수산화알루미늄
- 수산화마그네슘
- 탄산칼슘
특성
- 즉각적인 효과이지만 지속시간이 짧음
- 다른 약물과 병용하여 보조제로 사용 가능
- 복용 후 1시간 이내에 증상 완화
주의사항
- 과다 복용 시 변비(알루미늄 함유 제산제) 또는 설사(마그네슘 함유 제산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주의
④ 운동 촉진제
위장관 운동을 촉진하고 위 내용물을 빠르게 배출하도록 도움
대표적인 위장관 운동 자극제
- 돔페리돈
- 메토클로프라미드
- 이토프리드
특성
- 위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고 위산 역류를 감소시킴
- PIP 또는 H2 RA와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증가함
- 식사 30분 전 복용
주의사항
- 일부 약물은 신경계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 (추체외로증상) 장기 복용 시

⑤ 점막보호제
식도 및 위 점막을 보호하고 위산 역류 때문인 손상을 완화하는 약물이다.
대표적인 점막보호제
- 수크랄페이트
- 레바미피드
- 알긴산
특징
- 위 점막을 보호하여 손상 회복을 돕고 통증을 완화한다.
- 다른 약물과 병용 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주의사항
- 제산제와 함께 복용 시 약물 흡수가 감소할 수 있다.

3. 생활습관 개선
약물치료와 함께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식습관 조절
- 과식과 기름진 음식, 매운 음식, 짠 음식 피하기
-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최소 2~3시간 후에 잠자리에 들기)
- 알코올, 탄산음료, 카페인 섭취 줄이기
수면 습관 개선하기
- 머리를 15~20cm 들어 올리고 자기
- 왼쪽으로 자면 산성 역류 감소
역류성 식도염에 좋은 베개
체중 관리하기
- 과체중이면 체중 감량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복부 압박감 줄이기
- 꽉 끼는 옷과 복부에 압박을 주는 자세 피하기
PPI, H2 RA, 제산제, 위장관 운동 자극제, 점막 보호제 등 역류성 식도염 치료법이 다양하다.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생활 방식을 개선하면 효과적인 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약물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후 근육통 확실한 회복방법 5가지 (1) | 2025.04.05 |
---|---|
변비가 심할때 증상 (0) | 2025.04.04 |
손가락 마디 결절종 원인 특징 증상 치료 (0) | 2025.04.02 |
간수치 정상범위 확실하게 알아봅니다 (1) | 2025.04.01 |
콩팥 물혹 괜찮을까?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