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경로

by 해피데이! 2025. 5. 12.
반응형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경로

 

 에볼라 바이러스 개요

에볼라 바이러스는 필로 바이러스 과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사람에게 치명적인 출혈열을 유발하는 병원균이다. 1976년 수단과 콩고민주공화국(당시 콩고)에서 첫 발병이 보고된 이후, 주로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주기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사망률은 25%에서 90%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으며, 치료법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감염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주요 감염 경로

에볼라 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공기 감염)이 아닌 체액 접촉을 통해 주로 전파된다. 따라서 감염자의 혈액, 타액, 땀, 소변, 대변, 정액, 모유 등 거의 모든 체액이 감염원이 될 수 있다.

 

블로인 (랜덤채팅 친구만들기) - Google Play 앱

원하는 상대와 대화하고 친구 만들 수 있어요

play.google.com

 

 

1. 동물에서 사람으로의 전파(자연 숙주로부터의 감염)

에볼라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는 주로 과일박쥐로 알려졌지만, 영장류(침팬지, 고릴라 등), 멧돼지, 사향 고양이 등 다양한 야생 동물도 매개체가 될 수 있다.

-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

사냥, 도축 또는 섭취 과정에서 감염된 동물의 혈액이나 체액에 접촉하여 감염될 수 있다. 특히 야생 동물을 식용으로 섭취하는 관습이 있는 중부 및 서부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감염 위험이 큽니다.

- 사체와의 접촉

에볼라에 감염된 시체를 만지거나 매장해도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다.

반응형


2. 사람 간 전파

사람 간 전파는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의 가장 큰 전파 경로이다. 다음은 구체적인 사람 간 감염 경로이다.

- 감염된 체액과의 직접 접촉

감염된 사람의 혈액, 침, 구토물, 소변, 대변, 정액, 땀 등 체액에 직접 접촉하면 감염 위험이 매우 큽니다. 특히 체액이 상처가 있는 피부나 점막(눈, 코, 입 등)을 통해 침투할 경우 감염된다.

- 간접 접촉

감염된 사람의 체액으로 오염된 물건(옷, 침구, 주사기, 의료기기 등)을 만질 때도 감염될 수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체외에서 일정 기간 생존할 수 있으므로 간접 접촉 또한 위험하다.

- 병원 내 전파

 

메르스(MERS) 유행기간


의료진이 보호 장비 없이 감염 환자를 치료하거나 멸균되지 않은 의료기기를 재사용할 때 감염된다. 실제로 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유행했을 당시 많은 의료진이 감염되었다.

- 장례식 전파
전통적인 장례식은 시신을 씻고 만지는 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에볼라 바이러스는 감염자의 시신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사망 후에도 시신에는 상당량의 바이러스가 남아 있어 매우 위험하다.

- 성적 접촉을 통한 감염

남성 감염자의 경우, 회복 후 몇 달 동안 정액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회복 중인 남성과의 성관계를 통해 감염될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감염 후 최소 12개월 동안 성 접촉 시 콘돔 사용을 권장한다.


 감염 고위험 상황

에볼라 바이러스는 일상적인 사회적 접촉(악수, 대화 등)을 통해 쉽게 전파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감염 위험이 많이 증가한다.

- 감염자의 간호 및 치료 중 체액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
- 감염자의 시신을 보호 장비 없이 다루는 장례식
- 감염된 동물을 조리하거나 섭취하는 경우
- 오염된 주사기 및 의료 기기를 재사용하는 경우
- 감염자와의 성적 접촉

 감염 예방 조치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접촉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다음과 같은 예방 조치를 권장한다.

- 감염자 또는 감염 의심자의 체액과의 접촉을 피하십시오.
- 의료진은 보호 장비(PEP)를 착용하고 치료를 제공해야 한다.
- 감염자의 개인 소지품을 철저히 소독하거나 폐기하십시오.
- 장례식에서 시신과의 접촉을 피하십시오.
- 안전한 성관계를 갖고 정액을 검사하십시오.
- 손을 씻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키십시오.
- 에볼라 발생 지역 방문을 자제하십시오.


에볼라 바이러스는 전염성과 치사율이 높은 위험한 병원체로, 주로 감염자의 체액을 통해 전파된다. 동물에서 사람으로, 그리고 사람 간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의료진, 장례식 참석자, 가족 등 밀접 접촉자는 특히 감염 위험이 큽니다.

따라서 예방의 핵심은 감염자의 체액과의 접촉을 피하고, 철저한 위생 관리를 유지하며, 보호 장비를 착용하는 것이다. 공기 전파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감염자가 기침이나 구토를 할 때 생성되는 미세한 체액에 노출되는 것 또한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반응형